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요즘 서울시 공무원들은 은행을 터느라, 바쁩니다.<br> <br> 은행 ‘나무’ 얘기지요.<br> <br> 열매가 터지면 고약한 냄새를 풍기는 애물단지이지만 알고 보면 도시 가로수로 이만한 게 또 없습니다.<br> <br> 지자체마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 하는 새 어김없이 은행 철이 온 건데요.<br> <br> 김예지 기자가 가을 거리로 나가봤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점점 노랗게 물들어 가고 있는 은행나무 길입니다. <br> <br>눈으로 보기엔 참 좋지만, 고약한 냄새 탓에 코에는 별로죠. <br> <br>9월 태풍 이후 예년보다 은행 열매들이 빨리 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. <br> <br>지자체들의 은행 털이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> <br>길거리에 떨어져 터져버린 은행 열매. <br> <br>밟히고, 짓이겨져 열매를 치워도 보도블록엔 얼룩이 잔뜩 남았습니다. <br> <br>[이정심 / 서울 동작구] <br>"똥 냄새 같은 그런 냄새가 나요. 은행 밟은 날은 집에 가서 신발 밑바닥 닦아요." <br> <br>쏟아지는 민원에 서울시 25개 자치구는 '은행나무 열매 채취 기동반'을 편성했습니다. <br><br>방법은 크게 두 가지. <br> <br>인위적으로 나무를 털어 미리 열매를 따거나 땅바닥으로 열매가 떨어지지 못하게 깔때기 모양의 수거망을 나무에 다는 방법입니다.<br> <br>[현장음] <br>"으드드드" <br> <br>호두를 따는 진동 수확기까지 동원됐습니다. <br> <br>크레인 끝에 달린 진동 수확기가 은행나무를 잡고 흔들면 10초 만에 한 그루를 털어냅니다. <br> <br>수거한 열매는 폐기처분 하거나 중금속 검사를 거쳐 경로당과 사회복지시설 등에 기증됩니다. <br> <br>근본적인 해결에 나선 곳도 있습니다. <br> <br>서울 강북구는 1천여 그루의 암나무를 열매가 안 열리는 수나무로 바꿔 심었습니다. <br> <br>최근 2년간 5억 원의 예산이 투입됐습니다. <br> <br>은행나무는 20년 정도 자라야 성별을 알 수 있었지만 어린잎만 있어도 성감별이 가능한 DNA 분석법이 나오면서 가능해진 일입니다. <br><br>굵고 울창한 은행나무 옆에 눈에 띄게 작고 가는 나무가 있는데요. <br> <br>은행열매가 맺히던 암나무를 뽑고 지난해 다시 심은 수나무입니다.<br> <br>[변화경 / 강북구 상인] <br>"이맘때쯤 되면 청소도 많이 해야 되고 냄새도 많이 나고 신발에 밟히고 이래서 냄새가 많이 나는데 요즘에는 이거 바꾸고 난 뒤에는 그런 게 싹 없어졌어요." <br> <br>[김환형 / 강북구청 공원녹지과 팀장] <br>"매년 100여 건의 (은행 악취) 민원이, 올해 같은 경우에는 한 3건 정도만 접수가 됐어요. 민원이 확연하게 줄었다고 보시면." <br> <br>애물단지로 전락한 은행나무지만 여전히 가로수로 인기 있는 이유가 있습니다. <br><br>자동차 매연과 병충해에 강한 데다 미세먼지 흡수 능력이 뛰어납니다. <br> <br>나무가 단단해 차량이 인도로 넘어오는 걸 막아주기도 합니다.<br> <br>가을마다 반복되는 노란 악취와의 전쟁. <br> <br>한철만 참을 것이냐, 돈을 들여 바꿔 심을 것이냐, 지자체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예지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박영래 김건영 박재덕 강철규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김예지 기자 yeji@ichannela.com